-
눈은 시각의 담당기관으로 지름이 약 2.54cm이며 인간은 시각적 존재입니다 눈은 인간의 생존과 교육, 기쁨을 위해 중요한 시각정보를 전달하며 뇌피질의 절반 이상이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데 관여합니다 인간에게 시각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눈은 지방층으로 둘러싸인 뼈로 된 안와 속에 위치하게 됩니다.
안검(눈꺼풀)은 눈을 외상이나 강한 빛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2개의 움직이는 가리개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상안검(위눈꺼풀)은 더 크고 더 많이 움직이고 속눈썹은 두 줄 또는 세 줄의 짧은 털로 되어 있으며 안검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휘어있어서 먼지나 더러운 것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검열(눈꺼풀틈새)은 안검 사이에 타원형의 열린 공간으로 눈을 감았을 때는 상안검과 하안검(아래눈꺼풀)이 거의 완전하게 닫히고 눈을 떴을 때는 각막과 공막(흰자위막) 경계선에 닿게 됩니다 안각(눈구석)은 상안검과 하안검이 만나면서 생긴 각도로 내안각(안쪽눈구석)에 있는 소구(언덕)는 피지선이 있는 작은 살점입니다.
눈의 노출된 부분은 투명한 보호덮개로 눈과 안검 사이에 봉투처럼 접혀 있는 얇은 점막인 결막이 있습니다 검결막(눈꺼풀결막)은 안검에 붙어 있으며 작은 혈관이 무수히 많고 깊으며 오목한 곳을 만들고 눈 위에서 겹쳐지게 됩니다.
누선 부속기관은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결막과 각막을 촉촉하게 하며 윤활제 역할을 하고 눈의 상부 외측에 있는 눈물샘은 눈물을 만들며 눈물은 눈을 깜빡일 때마다 안구를 골고루 촉촉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 내안각에 있는 상안검과 하안검에서 볼 수 있는 눈물구멍으로 흘러나가서 약 4cm 정도의 비루관(코눈물관)을 타고 코 안쪽의 하비갑개로 흘러나가며 작고 겹쳐 있는 점막은 코 풀었을 때 공기가 올라가면서 비루관을 밀어 올리지 못하도록 합니다.
안구는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섬유층인 공막 (2) 현곤이 있는 맥락막 (3) 내층은 시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망막이 있습니다 망막 안에는 투명한 유리채가 있고 검진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은 공막 전면과 검안경을 통하여 볼 수 있는 망막입니다.
공막
공막은 보호역할을 하는 단단한 흰색의 덮개이며 전면에는 동공과 홍채를 덮는 부드럽고 투명한 각막으로 공막이 계속됩니다 각막은 눈을 굴절시키는 조직의 일부로서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켜서 망막에 빛이 모이도록 도와줍니다.
맥락막
맥락막은 빛이 내부적으로 반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망막에 혈액을 공급하는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맥락막 앞쪽으로 홍채와 모양체가 있으며 모양체의 근육은 렌즈 두께를 조절합니다 홍채의 기능은 조리개와 같아서 홍채의 중앙에 있는 동공의 구멍 크기를 변화시켜서 망막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동공은 둥글고 균형 잡혀 있으며 크기는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제3 뇌신경을 통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하면 동공이 축소되고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동공이 확장됩니다 동공 크기는 망막에 사물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또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변합니다.
망막
망막은 빛 파장을 신경자극으로 변화시키는 눈의 시각수용층으로 이것은 부드럽고 젤라틴 같은 유리체를 싸고 있습니다 시원판 또는 시신경유두는 망막으로부터 나온 섬유질이 시신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인 곳이고 이는 망막의 코 쪽에 위치하여 색은 크림 같은 주황색에서부터 분홍색까지 다양하며 형태는 둥글거나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뚜렷하게 구별되는데 특히 측두골 측이 더운 뚜렷한 특징을 보입니다.
눈 검진 시
정확한 시력측정을 위하여 스넬렌(snellen) 알파벳 시력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 시력표는 글씨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나열해 놓은 것입니다 알파벳 시력표를 눈높이에 맞추어 벽에 부착 후 대상자는 정확히 6m 거리에 서서 한쪽 눈을 검사하는 동안 불투명한 눈가리개로 한쪽 눈을 가리도록 합니다 만일 대상자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그냥 착용하도록 하며 원거리 시력측정 시 시야를 흐리게 할 경우 제거하도록 해야 합니다 대상자가 잘 보이는 큰 숫자부터 읽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숫자까지 읽도록 지시합니다.
최종적으로 대상자가 읽은 선의 분수를 기록하고 대상자가 읽은 가장 작은 글씨가 있는 줄에서 몇 개나 읽지 못했나 또는 교정렌즈를 착용하고 있었는지를 기록합니다 만일 대상자가 가장 큰 글씨도 읽을 수 없으면 대상자가 읽을 수 있는 거리까지 가까이 가서 읽도록 하고 그 거리를 기록합니다 만일 시력이 매우 낮을 때에는 대상자의 눈앞에서 손가락을 펼쳤을 때 손가락을 셀 수 있는지 확인하거나 펜라이트를 사용하여 빛 지각을 식별합니다.
대면법은 주변시각을 전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진자의 주변시야를 정상이라고 가정하고 검진자의 주변시야와 대상자의 시야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약 1m 떨어진 거리에서 대상자의 눈높이에 서서 대상자에게 한쪽 눈을 불투명한 카드로 가리도록 하고 열린 쪽 눈으로 검진자를 직시하도록 한 뒤 대상자의 가린 눈과 맞댄 쪽의 검진자 눈을 가립니다 검진자와 대상자 간에 목표물로 연필이나 두 손가락을 가볍게 움직이면서 그 목표물을 따라 주변의 여러 방향에서 중심을 향하여 움직입니다 그 목표물이 처음 보일 때 순간 "보인다"라고 말하도록 하고 검진자 역시 이 순간에 그 목표물을 봐야 합니다 붉은 핀을 사용하여 손가락을 움직이면 대면법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고 실제로 시야 감소는 뇌졸중이나 망막 질환이 있으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상자의 눈을 향하여 빛을 비춰서 안구축의 평형배열을 확인합니다 약 30cm 거리에서 펜라이트를 들고 대상자는 똑바로 검진자를 바라보도록 지시하고 각막빛반사(히르쉬버그검사)를 주의하며 살피도록 합니다 빛반사가 양쪽 각막의 같은 지점에서 일어나야 하고 빛반사가 비대칭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안근 육의 마비 또는 안근육 악화로 배열이 비뚤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안구의 정상 소견은 돌출되거나 푹 꺼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안와 안에 있어야 합니다 결막과 공막은 대상자에게 위를 쳐다보라고 한 뒤 검진자의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안와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안검을 아래쪽으로 당기는데 안구를 누르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노출된 부분을 시진해야 합니다 안구는 촉촉하면서 윤이 나고 여러 작은 혈관들이 있는 것이 정상이고 결막은 깨끗하고 결막 밑에 있는 구조가 정상색을 나타내야 합니다(하안검 위에서는 분홍색, 공막 위에서는 흰색) 색깔의 변화와 부종 또는 병변이 있는지도 관찰합니다 공막은 사기그릇처럼 하얀색이고 피부가 검은 사람의 공막에 작은 갈색점이 보이는 것은 정상이므로 (주근깨 같은 점) 이물질이나 점상출혈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 입, 인후 구조와 기능 및 검진 (0) 2024.01.20 귀의 구조와 기능 및 검진 (0) 2024.01.20 머리, 얼굴, 목, 국소 림프 기능 및 검진 (0) 2024.01.19 피부, 모발, 조갑 특징 및 검진 (0) 2024.01.19 영양상태의 중요성 및 검진 (0)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