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1. 20.

    by. 서치어

     

    코(nose)는 호흡기계의 첫 통로이며 흡입한 공기를 가온, 가습, 여과하며 냄새를 감지하는 감각기관입니다.

     

    코,입,인후

     

    외비(바깥코)는 한 면이 얼굴에 부착되어 있는 삼각형 모양이며 코 앞 가장자리의 상위 부분이 비교(콧등)이고 끝부분을 비첨이라고 합니다 삼각형 모양 저면의 난원형 개구부는 외비공이며 각 콧구멍은 전정(안뜰)으로 넓어집니다 비근(코기둥)은 콧구멍을 둘로 나누고 내면의 비중격(코중격)으로 이어지고 비익(콧방울)은 코의 바깥쪽 양측 날개로 바깥코의 상부 1/3은 뼈로 되어 있고 그 나머지는 연골입니다.

     

    비강(코안)의 내부는 바깥코보다 넓어서 구강의 천정 위 뒤쪽으로 확장됩니다 비강의 앞쪽 끝은 많고 굵은 코털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점막의 섬모로 덮여 있습니다 코털은 흡입한 공기의 거친 물질을 여과하고 점막의 섬모는 먼지와 세균을 제거합니다 코의 점막은 흡입된 공기를 가온하기 위해 혈관분포가 많아 구강점막보다 붉은색입니다.

     

    비강은 중앙이 중격(사이막)으로 갈라져 2개의 공기통로로 나누어져 있고 중격의 앞부분은 혈관망이 풍부한 키셀바흐 혈관총으로 출혈이 가장 흔한 부위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의 비중격은 똑바르지 않고 한쪽으로 편위 될 수 있습니다.

     

    각 비강의 외측벽에는 평행한 뼈 돌기 3개가 있는데 상, 중, 하의 비갑개이고 비갑개(코선반)는 넓은 면적을 제공하며 각 비갑개 사이의 틈을 비도(콧길)라 하고 비갑개의 위치에 따라 상비도, 중비도, 하비도로 나누어집니다 대부분의 부비동(코곁굴)은 중비도로 흐르고 눈물은 비루관(코눈물관)을 통해서 하비갑개로 흐르게 됩니다.

     

    후각수용기는 제1 뇌 신경인 후각신경과 연결되어 있으며 뇌의 측두엽으로 전달됩니다 후각은 비록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하진 않지만 음식의 맛과 즐거움을 증진시켜 영양물을 더 섭취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입은 소회기계의 첫 단계이며 호흡기계의 기도(숨길, airway)이다

     

    구강은 입술과 구개, 뺨과 혀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짧은 통로이며 치아와 잇몸 그리고 혀의 타액선이 있습니다 입술의 바깥면은 피부이고 구강 쪽에 접한 부분은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구개는 궁 모양의 지붕으로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앞쪽은 경구개(단단 입천장)이며 뼈로 구성되어 있고 흰색이고 뒤쪽은 연구개(물렁 입천장)로 궁 모양의 근육이 있으며 분홍색이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구개수(목젖)는 연구개의 중앙에서 아래로 늘어져 돌출되어 있으며 뺨은 구강의 양측 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의 바닥은 말굽 모양의 하악골과 혀, 그 아래에 근육들로 구성되고 혀는 가로형으로 배열된 횡문근 덩어리로 그 모양과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혀의 뒷면의 아래쪽은 부드럽고 빛이 나며 돌출된 정맥이 있습니다 설소대(혀주름띠)는 입의 바닥과 혀를 연결시키는 중앙주름의 조직입니다 저작과 연하작용이나 양치질을 할 때와 언어 형성 시에 혀의 모양과 위치는 변화됩니다 혀는 미각기능도 담당하는데 혀의 뒤쪽과 양 측면을 따라 있는 유두와 연구개 위에 미뢰(맛봉오리)가 있습니다.

     

    입에는 3쌍의 타액선(침샘)이 있는데 가장 큰 이하선(귀밑샘)은 귀 앞쪽 관골궁(광대활)에서부터 하악각까지 걸쳐 있으며 뺨 안에 위치합니다 이하선관인 스틴슨관은 앞으로 뻗어 제2 대구치 맞은편 뺨의 점막에서 개구 하며 하악선(턱밑샘)은 호두 정도의 크기로 하악골의 하악각 아래에 위치하여 하악선에서 나온 타액은 혀 아래 설소대 양쪽에서 개 구하는 와튼관을 통해서 입으로 들어갑니다.

     

    가장 작은 아몬드 모양인 설하선(혀밑샘)은 혀 밑 구강 바닥에 위치하는데 설하선은 혀 밑 설하주름을 따라 많은 작은 개구부가 있습니다 타액선에서 분비하는 타액은 음식물을 촉촉하고 매끄럽게 해 주며 소화의 시작과 점막을 보호하며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맑은 액체입니다.

     

    성인은 각각의 궁에 16개씩 32개의 영구치(간니)가 있는데 각 치아들은 치관(치아머리), 치경(치아목), 치근(치아뿌리)의 3 부분으로 되어있습니다 치은(잇몸)은 치아를 붙잡고 있는 점막으로 덮인 두꺼운 섬유조직으로 잇몸은 창백한 분홍색과 전각 표면으로 나머지 구강 점막과는 구별됩니다. 

     

    인두 또는 목구멍은 구강과 비강의 뒷 부위이다

     

    구강인두(입인두)는 양쪽의 주름 조직으로 전구개궁(구개설궁)에 의해 구강과 나누어집니다 그 주름의 뒤에 각 림프조직의 덩어리인 편도가 있고 편도는 과립형으로 그 표면에 깊은 선와(움)가 있지만 둘러싸고 있는 점막과 같은 색깔로 보입니다 편도 조직은 유년기부터 사춘기까지 커지며 그 후에는 퇴축됩니다 인두 후벽은 이들 구조 뒤에 보이며 일부 작은 혈관들을 그 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비인두(코인두)는 구인두(입인두)와 연결되지만 입인두 위에 있으면서 비강의 뒤쪽에 있으며 구강과 인두에는 림프망이 풍부합니다.

     

    코 검진 시

    외비는 정상적으로 코가 대칭적이며 정중선에 있고 다른 안면부와 적당한 비율을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 코의 기형이나 비대칭, 염증 또는 피부병변을 시진하고 만약 손상이 의심되면 통증의 여부와 외형이 손상되었는지 조심스럽게 촉진해야 합니다.

     

    비강은 비경에 짧고 넓은 검경을 부착하여 비중격에 압박을 가하지는 않으면서 비전정(코안뜰)에 비경을 넣습니다 넣기 전에 검진자의 손가락으로 코끝을 부드럽게 들어 올리고 대상자의 머리를 똑바로 하여 각 비강을 본 후 머리를 뒤로 젖혀 시작합니다 정상 비점막은 붉고 부드러우며 촉촉하며 종창이나 분비물 및 출혈 또는 이물질이 있는지 관찰합니다.

     

    부비동 촉진은 엄지손가락으로 눈썹 아래의 전두동을 꽉 누르고 광대뼈 아래의 상악동을 눌러보는데 이때 직접적으로 안구를 누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대상자는 압박감만 느끼고 통증은 없어야 합니다.

     

    구강 검진 시

    구강은 입술색과 갈라짐 또는 병변을 검사해야 하고 입술을 당겨서 안쪽 면도 검사합니다 치아의 상태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의 지표이기 때문에 정기 치아검진으로 대치해서는 안 되며 치아에 질병이 있는지 빠진 치아가 있는지 흔들리는 치아나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치아가 있는지 검사해야 합니다 치아는 정상적으로 흰색이며 고르게 배열되어 있고 충치가 없어야 합니다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치아 개수가 맞는지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이를 꽉 다 물어보라고 지시하여 상악과 하악의 교합을 살펴봅니다.

     

    정상적으로 잇몸은 표면에 점박이 있는 분홍 또는 산호빛으로 보이고 잇몸과 치아의 경계선은 밀착되어 있고 분명합니다 종창이나 잇몸선의 수축 또는 출혈 및 변색을 검사합니다.

     

    혀의 색과 표면의 특징 그리고 습기도 검사해야 합니다 혀는 분홍색이고 균일하며 뒷면은 부드럽고 정맥이 보이고 타액이 있습니다 장갑을 끼고 거즈를 사용하여 혀를 잡아당겨서 좌우로 돌려보고  흰색 반점 또는 병변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있으면 병변의 단단한 정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치아 뒤 혀 아래의 U자 모양의 부위를 조심스럽게 검사해야 하는데 이는 구강 악성 종양이 생기는 부위입니다.

     

    인후 검진 시

    인후검사 시에는 펜라이트를 사용하여 전편도기둥 뒤쪽에 있는 타원형의 거친 면인 편도를 관찰합니다 편도의 색깔은 구강 점막과 같은 분홍색이고 표면은 움푹 파여 있거나 선화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선와에 흰색과 비슷한 색깔의 세포 부스러기 덩어리가 끼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이 꼭 염증을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편도에 삼출물은 없어야 합니다 설압자로 혀를 눌러 인두 후벽을 살피며 후벽의 색깔과 삼출물, 병변을 관찰해야 합니다.

     

    검사 동안 호흡 시 나는 냄새와 구취에 주의해야 하는데 구취는 흔하며 대개 구강위생 불량이나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부패와 같은 국소적인 원인이며 다른 흔한 냄새들은 냄새나는 음식을 섭취했거나 음주 또는 과다한 흡연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가끔 전신질환을 암시하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 관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