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1. 21.

    by. 서치어

    흉곽은 아랫부분이 넓은 원추형 모양의 뼈로 되어 있고 12쌍의 늑골과 12개의 흉추(등뼈), 흉골(복장뼈)로 구성됩니다 흉곽의 아랫면은 흉강을 복부와 분리시키는 근육과 건 형태의 중격인 횡격막이 있습니다.

     

    흉곽과 폐

     

    제1늑골에서 제7늑골까지는 늑연골을 통해 흉골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며 제8, 9, 10 늑골은 그 바로 위의 늑연골 (갈비연골)에 부착되어 있고 제11, 12 늑골은 자유롭게 떠 있으며 촉진이 가능합니다 늑연골 연접부는 늑골이 연골과 만나는 지점을 말하며 촉진할 수는 없습니다.

     

    흉곽 전면의 지표

    흉곽의 해부학적 지표들은 호흡기 구조에 대한 길잡입니다 해부학적 지표를 아는 것은 이상 소견이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 도움을 주고 이러한 소견들에 관하여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합니다 흉골상 절흔은 쇄골(빗장뼈) 사이에 있으며 흉골병상연의 U자 모양으로 들어간 곳에서 촉진되며 흉골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흉골병(복장뼈자루)과 흉골체(복장뼈몸통), 검상돌기(칼돌기)가 있고 흉골상 절흔에서 약 5cm 아래로 흉골병을 따라 내려오면 뚜렷하게 뼈가 올라온 것이 느껴지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것이 흉골각(복장뼈각)이며 흉골각은 루이스각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흉골병과 흉골체의 관절 부위이며 제2늑연골과 연결됩니다 루이스각은 늑골의 위치를 알기 위해 숫자를 세기 시작하는 부분으로써 유용한 부위이며 흉부의 비정상 위치를 수평적으로 확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흉곽 후면의 지표

    경추의 돌기: 목을 앞으로 구부릴 때 목 아래쪽에서 가장 튀어나온 부위가 제7경추 극상돌기이며 만약 2개의 돌기가 비슷하게 튀어나온 경우 위의 것이 C7이고 아래 것이 T1입니다.

     

    극상돌기: 척추에 있는 돌기들을 아래로 세어본다 이들이 모여서 척주를 형성하고 T4 극상돌기까지는 해당하는 번호의 늑골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T4 이후의 극상돌기는 척추체(척추뼈몸통)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히 구부러져 있어 그 아래 늑골에 해당합니다.

     

    견갑골 하연: 견갑골은 각각의 흉곽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견갑 하각 부분은 제7늑골 또는 제8늑골에 해당합니다.

     

    제12늑골: 제12늑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척추와 신체 측면 사이의 중간 지점을 촉진해야 합니다.

     

    흉강

    종격동은 식도와 기관과 심장 그리고 대혈관이 있는 흉강의 중앙 부분으로 종격동의 양측에는 폐가 들어 있는 흉막강(가슴막 안)이 위치하고 있으며 흉부의 전면에서 폐조직의 가장 높은 지점인 폐첨은 쇄골의 안쪽 1/3 부위에서 3~4cm 위에 있고 폐의 하부 경계인 폐저부는 중앙쇄골선상에서 약 제6늑골 높이의 횡격막 위에 놓여 있습니다 측면에서는 폐조직이 액와의 첨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제7늑골 혹은 제8늑골까지 뻗어 있습니다.

     

    폐엽

    폐는 쌍으로 되어 있으나 구조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고 우폐는 아래에 위치하는 간 때문에 좌폐보다 더 짧으며 좌폐는 심장이 좌측으로 불룩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우폐에 비해 좁습니다 우폐는 3개의 엽으로 좌폐는 2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측 폐는 열에 의해서 대략 반으로 구분됩니다.

     

    흉막

    얇고 매끄러운 흉막(가슴막)은 폐와 흉벽 사이에 있는 봉투 형태의 장막입니다 흉막은 폐의 외부를 둘러싼 장측 흉막과 흉벽과 횡격막의 내부를 덮고 있는 벽 측 흉막으로 되어있고 두 흉막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봉투의 안쪽인 흉막강(가슴막 안)은 소량의 윤활액이 차 있는 잠재적 공간으로 정상적인 흉막강은 폐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흉막강에 음압이 걸려 있으며  폐는 호흡 시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기관과 기관지

    기관은 식도 앞쪽에 놓여 있고 목에 있는 윤상연골에서 시작하여 성인의 경우 길이는 약 10~11cm 정도입니다 기관은 전면에서는 흉골각의 부위에서 후면에서는 T4 또는 T5의 정도에서 좌우기관지로 나뉩니다 우기관지는 좌기관지보다 더 짧고 넓으며 수직으로 뻗어 있고 기관과 기관지는 외부 환경과 폐실질 사이에서 가스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은 공기로 가득 채워져 있으나 가스교환이 불가능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관지는 흡입된 작은 공기 입자들로부터 폐포(허파꽈리)를 보호하게 됩니다 기관지는 이물질을 잡아내는 점액을 분비하는 배상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기관지를 덮고 있는 섬모는 이물질이 삼켜지거나 배출되도록 움직입니다.

     

    호흡기 전

    호흡계는 4가지 주요 기능이 있습니다

    (1) 에너지 생산을 위해 신체로 가스를 공급하는 기능

    (2) 에너지 반응의 노폐 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

    (3) 동맥혈의 항상성(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

    (4) 열교환을 유지하며 혈액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과도한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으로써 호흡은 혈액의 ph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신체조직은 혈액에 의해 ph가 정상 범위 내에서 조절되며 수많은 보상기전이 ph를 조절하지만 폐는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 수치를 조절시킴으로써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 등이 있습니다.

     

    호흡조절

    인간의 정상적인 호흡은 스스로의 자각 없이 세포요구에 반응하여 변화하는데 이러한 무의식적인 호흡조절은 뇌간(뇌교과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에 의해 조절됩니다 체액조절과 혈액 내 이산화탄소, 산소 분압과 수소 이온 등의 변동에 의해 조절되고 호흡 운동은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가 증가되면 촉진됩니다. 

     

    흉부 크기의 변화

    호흡은 숨을 쉬는 신체적 활동으로 공기가 폐로 들어가면 흉부 크기가 증가하고(흡기) 배출되면 흉부는 원상태로 돌아갑니다 흉강의 기계적 확장과 수축은 흉곽의 크기를 두 가지 차원에서 변화시키게 되는데

    (1) 수직 직경이 길어지거나 짧아지며 이는 횡격막이 아래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2) 전후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데 이는 늑골의 상승이나 하강에 의해 작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