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혈관계는 심장 및 혈관으로 구성되며 명치 부위는 심장과 대혈관들이 있는 가슴 앞쪽 부분입니다 대혈관 들은 심장과 연결된 주요 동맥과 정맥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과 대혈관 들은 흉곽의 3분의 2 지점 내에 양쪽 폐 사이 공간으로 종격동에 위치하고 심장은 제2늑간에서 제5늑간에 있으며 흉골의 우측 경계면에서 좌측 중앙쇄골선상에 위치합니다 체내에서 심장은 회전되어 있어서 우측이 전면에 있고 좌측은 대부분 후면에 있습니다.
혈관은 2개의 폐순환과 전신순환으로 나누어지고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은 두 순환회로로 동시에 박출됩니다 심장이 흉곽 내에 역삼각형처럼 놓여 있다고 생각하면 심장의 '윗부분'은 넓은 심기저이고 '아랫부분'은 심첨(심장 끝)으로 왼쪽 아래로 향하고 있습니다 수축하는 동안 심첨 부위가 흉벽으로 박동하면서 심첨박동(심장 끝박동)을 유발하게 됩니다 심장박동은 대부분의 사람에서 정상적으로 제5늑간에서 촉진할 수 있습니다.
대혈관 들은 심기저 위에 모여 있고 상대정맥(위대정맥)과 하대정맥(아래대정맥)은 산화되지 않은 정맥혈을 우심방으로 돌려보냅니다 폐동맥(허파동맥)은 우심실을 떠나 분지 되며 정맥혈을 폐로 보내고 폐정맥(허파정맥)은 새롭게 산화된 혈액을 심장의 좌측으로 보내고 대동맥은 다시 혈액을 전신으로 운반합니다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상행하며 흉골각 부위에서 후굴 되어 심장 뒤쪽에서 하행합니다.
심벽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심낭은 거칠고 섬유성의 두 층으로 형성된 낭으로 심장을 보호하도록 둘러싸여 있으며 2개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층 사이에는 장액성 심낭액이 약간 들어 있어 심근이 부드럽고 마찰 없이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입니다 심낭은 대혈관들과 식도 그리고 흉골 및 늑막과 접해있고 횡격막 가까이에 있습니다 심근층은 심장의 근육성 벽으로 박출을 담당하고 심내막은 심방과 판막의 안쪽 표면에 놓여 있는 내피조직으로 이루어진 얇은 층입니다.
심장은 2개의 펌프이며 우측 심장은 폐로 혈액을 박출하고 동시에 좌측 심장은 전신으로 혈액을 박출합니다 2개의 펌프는 비침투성 벽인 중격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데 좌우 각각 1개의 심방과 1개의 심실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방은 라틴어로 '작은 방'을 뜻하며 혈액을 보유하는 얇은 벽의 저장소입니다 벽이 두꺼운 심실은 근육성 박출방이고(일반적으로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과 같은 약어를 사용) 판막의 주요 기능은 혈액의 역류를 막는 것입니다 판막은 한 방향으로만 열리며 혈류의 압력 차이에 반응하여 수동적으로 열리고 닫힙니다.
심장에는 4개의 판막이 있는데 2개의 방실판막은 심방과 심실을 분리합니다 우측 방실판막은 삼첨판으로 좌측 방실판막은 이첨판 혹은 승모판으로 되어 있습니다 승모판의 얇은 엽들은 좌심실의 콜라겐 섬유인 건식에 의해 유두근에 부착되어 있고 방실판막은 심장의 충만기 혹은 이완기 동안에 심실이 혈액으로 가득 차도록 열렸다가 박충기 혹은 수축기 동안에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닫힙니다
반월판막들은 심실과 동맥들 사이에 놓여있고 각 판막은 반달 모양처럼 생긴 3개의 뾰족한 끝 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월판막은 우측 심장의 폐동맥판막과 좌측 심장의 대동맥판막이며 반월판막은 박충기 혹은 수축기 동안에 열려서 심장에서 혈액이 박출되도록 도와줍니다.
박출능력
성인이 휴식을 취하는 동안 심장은 정상적으로 분당 4~6L의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는데 이를 심박출량이라 하며 1회 박출량과 분당 맥박수를 곱한 혈액의 양과 같습니다 심장은 체내 대사요구량에 따라 심박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전부하와 후부 하는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심장의 능력에 영향을 줍니다 전부 하는 이완기 동안 형성되는 정맥귀환량으로 수축 바로 직전의 이완기에 심실근육이 신장된 정도입니다
후부 하는 심실이 높은 대동맥압에 대항하여 대동맥판막을 열기 위해 발생시켜야 하는 역압력으로 심실이 혈액을 박출할 때 이겨내야 하는 저항입니다 심실이 혈액으로 채워졌을 때 심실의 이완기 말 압력은 5~10mmHg이며 대동맥은 70~80mmHg입니다 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실근육이 긴장되고 대동맥판막이 열린 후에 혈액은 급격하게 박출됩니다.
목혈관
목 혈관들은 심장기능의 효율성을 반영합니다 경동맥은 중심 동맥은으로 심장에 근접해 있습니다 경동맥의 박동은 심실 수축기와 거의 동시에 일어나고 경동맥은 기관과 흉쇄유돌근 사이 홈에 위치하며 근육을 따라 중앙에 놓여 있습니다 동맥 파동은 부드럽고 빠른 상승 형태이며 둥글고 부드러운 꼭짓점과 점차적으로 아래로 향하는 중복맥박 파임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대동맥판막의 폐쇄로 인해 발생합니다.
경정맥은 비산화된 혈액을 직접 상대정맥으로 보냅니다 우심방과 상대정맥 사이에는 판막이 없기 때문에 경정맥은 우측 심장의 상태를 잘 말해 주며 특히 경정맥은 용적변화와 충만압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우측 심장이 효율적으로 박출하지 못할 때 용적과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경정맥은 이런 상태를 노출시키게 됩니다.
2개의 경정맥들은 목의 좌우에 놓여 있고 좀 더 큰 내경정맥이 흉쇄유돌근 깊이 중앙에 놓여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진 할 수는 없으나 대상자가 앙와위를 취했을 때 확산된 맥박이 흉골 파임 부위에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외경정맥은 표면에 조금 더 가깝고 쇄골 위 흉쇄유돌근 옆에 놓여 있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부의 구조와 시진 및 청진법 (0) 2024.01.23 말초혈관계와 림프계의 기능 (0) 2024.01.22 흉곽과 폐의 구조와 기능 (0) 2024.01.21 코, 입, 인후 구조와 기능 및 검진 (0) 2024.01.20 귀의 구조와 기능 및 검진 (0) 2024.01.20